전체 글 (20) 썸네일형 리스트형 내가 보려고 만든 GitHub 명령어 총정리 아이펠 리서치 과정을 진행하면서 가끔 버벅일때가 많아 작성하게 되었다. 1. Local 저장소 설정1) 로컬의 Git에 GitHub의 계정 정보 등록$ git config --global user.email "이메일"$ git config --global user.name "사용자이름"--global 옵션은 특정 사용자와 모든 저장소에 대해 적용한다는 의미,만약 프로젝트마다 다른 이름과 이메일주소 사용시 --global 옵션 제거하면 됨$ git config -l //Git에 등록한 config의 정보를 모두 확인 *커널이 초기화 되는 가상환경에서 실습하는 경우가상실습환경 주피터 노트북 사용시 매번 해줘야 되는 경우가 발생 이유가 궁금하여 찾아보니 .gitconfig 속에 등록한 config 정보가 .. 딥러닝 모델 구축, Keras Sequential API vs. Functional API feat. 케창딥 7장 케창딥 7장을 보고 케라스(Keras)로 딥러닝 모델을 만드는 3가지 방법에 대해서 학습하였고, Keras Sequential API vs. Functional API의 특징을 분류해 보았다. 3가지 Keras mode API 소개케라스에서 모델을 만드는 API는 세가지가 있으며, 같은 API 기반을 가지고 있어서 한 workflow의 구성요소를 다른 workflow에서 호출할 수 있다.Sequential model : 가장 시작하기 쉬운 API, 단순히 층을 쌓는 것Functional API : 그래프 같은 모델 구조를 주로 다룸. 사용성과 유연성 사이의 중간지점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모델 구축 APISubclassing : 모든 것을 밑바닥부터 직접 만들 수 있는 저수준의 방법. 모든 상세한 내용을.. 내가 보려고 작성하는 코랩 단축키 모음 코랩 실행 단축키Ctrl(com) + Enter = 해당 셀 실행 / 커서 남겨둠📌Shift + Enter = 해당 셀 실행 / 다음 셀로 커서 넘김(다음 셀 없을 시 새로운 셀 생성)Alt(pt) + Enter = 해당 셀을 실행 후 새로운 셀 삽입 / 새로운 셀로 커서 넘김 코랩 셀 삭제 및 삽입괄호는 내가 커스텀한 방식Ctrl + M A = 코드 셀 위에 삽입Ctrl + M B = 코드 셀 아래 삽입📌 Ctrl + M D = 셀 지우기 // 실수할 수 있으므로 조심조심📌Ctrl + M Y = 코드 셀로 변경(Ctrl + M ,)📌Ctrl + M M = 마크다운 셀로 변경Ctrl + M Z = 실행 취소 코랩 단축키 확인 법Ctrl + M H = 단추기 모음 확인(커스텀 가능) 커스텀에 제약.. L1, L2 Regulariztion(정규화)에 대해(Rasso, Ridge) 1. L1, L2 Regularization 이란?(1) L1, L2 Regularization이란? 머신러닝 모델을 학습시키다 보면 Overfitting(모델이 학습 데이터에 지나치게 맞춰져 새로운 데이터에 대한 예측 능력이 떨어지는 현상)을 직면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Overfitting 해결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L1, L2 정규화(regularization)가 있다 참고로, Lasso와 Ridge는 각각 L1, L2 Regulization를 사용하며 regression model의 overfitting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model(2) L1, L2 Regularization을 이해하기 위한 Norm 쉽게 이해하기!Norm : Vector의 물리적인 길이(크기) (Matrix Norm도 있.. 이전 1 2 3 다음